-
[ 목차 ]
출근길마다 스타벅스에 들르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겪었을 법한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매일 커피 한 잔 사는데도 지갑이나 카드를 꺼내는 건 은근히 번거로운 일이죠.
이제는 이런 불편함마저 해결된다고 하는데요. 최근 스타벅스가 도입한 '간편계좌 포스결제'가 바로 그것입니다.
스타벅스 간편계좌 등록하고 별 추가로 적립받는 방법
그런데 위의 간편계좌방식이 과연 매장 POS기에서도 적용이 될까요? 오늘은 스타벅스 간편계좌 포스결제가 실제 매장에서 잘 되는지, 그리고 어떤 혜택을 주는지 직접 확인한
경험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알려드릴게요.
스타벅스 간편계좌는 무엇일까?
스타벅스 간편계좌는 스타벅스 앱에 직접 계좌를 연동하여 결제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앱 계좌 등록을 통해 어플에서는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스타벅스 카드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대신, 계좌에서 바로 결제 금액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더욱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요. KB국민은행과 스타벅스가 협력하여 오픈뱅킹 기반으로 만든 이 결제 시스템 덕분에, 대부분의 은행과 증권사 계좌가 연동 가능하여 접근성도 높습니다.
스타벅스 간편계좌, 포스POS결제 가능할까?
포스(POS)에서 결제 가능한지 직접 경험해봤어요! 처음 계좌 간편결제 서비스가 나왔을 때, 저도 정말 되는지 궁금해서 직접 스타벅스를 방문했습니다.

평소처럼 음료를 주문한 후 스타벅스 앱을 열었어요. 어플 사이렌오더로 주문하면 간편결제계좌는 물론 스타벅스 카드 등으로 결제가 가능하지만 아직까지 스타벅스 어플 내 PAY 모드에서 간편계좌 결제 바코드는 지원하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결론적으로 스타벅스 간편계좌 결제는 매장 포스기
결제는 안된다는 것이 결론입니다!
다만 기존 간편결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는 바코드를 켜서 결제가 가능합니다. 카드 바코드를 제시하니 포스 화면에는 "결제 완료"라는 문구가 깔끔하게 떴고, 지갑도 카드도 꺼내지 않고 앱 하나로 결제가 마무리된다는 점이 굉장히 편리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별 적립 이벤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반드시 스타벅스 어플 내 사이렌오더로 결제하시기 바래요! 어플 내 사이렌오더로 결제하면 결제가 완료되자마자 별 적립까지 자동으로 처리된답니다!
스타벅스 간편계좌 결제의 주요 혜택
편의성
스타벅스 간편계좌 포스결제의 가장 큰 장점은 편의성입니다.
앱 하나로 바로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결제 과정이 아주 빠르고 간단해졌어요.
별적립혜택 이벤트
추가로 별 적립 혜택도 놓칠 수 없는데요.
스타벅스 카드로 결제하는 것과 동일하게, 음료 구매 시 별이 자동으로 적립됩니다.
KB별별통장 간편계좌 설정 혜택
특히 KB국민은행 계좌로 간편계좌 결제를 설정하면,
최초 등록 시 톨사이즈 아메리카노 쿠폰을 받을 수 있고, 결제 시 추가 별이 건당 1개씩 월 최대 3개까지 더 적립됩니다.
스타벅스를 자주 이용하는 분이라면 'KB 별별통장'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KB 별별통장은 스타벅스 간편계좌 포스결제 전용 통장으로, 최고 연 2%의 이자를 제공하는 파킹 통장이기도 합니다.
더욱 매력적인 점은 이 통장으로 간편계좌 결제 시 결제 1건당 별이 1개씩 추가로 적립되어, 한 달에 최대 5개의 추가 별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자주 이용하면 이용할수록 더욱 많은 혜택을 얻을 수 있죠.
스타벅스 간편계좌 포스결제 덕분에 매장에서의 결제가 한결 간단하고 빠르게 바뀌었습니다. 별 적립 혜택까지 있으니, 스타벅스 애용자라면 꼭 써봐야 할 서비스라는 생각이 들어요.
여러분도 이제 스타벅스 앱에서 간편계좌 포스결제를 설정하고, 더욱 편리하고 풍성한 스타벅스 생활을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형 키즈카페 서울시 키즈카페 예약방법 총정리 (0) | 2025.04.16 |
---|---|
키움증권 영웅문 대체거래소(NXT)등장에 따른 시세 왜곡 해결법(SOR해제 포함) (0) | 2025.04.16 |
주식회사 코페이 결제내역 가맹점 조회하는 방법 (1) | 2025.04.14 |
미리내집(장기전세주택) 지원대상 신청방법 정리 (0) | 2025.04.14 |
미국주식 실적캘린더 조회하는 방법 4가지 (0) | 2025.04.10 |